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1 No.4 pp.232-240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3.31.4.06

Effects of Plug Tray Cell Size, Shading Ratio, and Fertilization Condition Seedling Growth for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플러그 트레이 셀의 크기, 차광률, 시비조건이 강부추와 갯부추의 육묘에 미치는 영향

Chung Hwa Park1†, Bo-Kook Jang1,2†, Jeong Min Kim1, Hyeok Jae Choi3, Mi Jeong Yoon1*
1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2Department of Horticul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3Department of Biology and Chemistr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51140, Korea

박충화1†, 장보국1,2†, 김정민1, 최혁재3, 윤미정1*
1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2국립순천대학교 원예학과
3국립창원대학교 생물학화학융합학부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ence to Mi Jeong Yoon Tel: +82-31-540-8981
E-mail: mjyoon75@korea.kr
01/11/2023 14/12/2023

Abstract


Among the native Allium plants, A.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were valuable as ornamental, edible, and medicinal resources, but they need to be studied due to insufficient investigation of growth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eedl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ug tray cell size, light shading rates, and fertilization treatments on the seedling of two allium species. As a result of cultivating in the plug cell size, 50 cells with the largest volume among 50, 72, 105, 128, 162, and 200 cell treatments showed excellent growth of plant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roots and root length. However,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use a 128-cell plug tray in terms of production cost and efficiency during seedling. The seedlings according to the light shading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lan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length in 30~60% shade. When the growth indicators except for fresh and dry weight were investigated in the fertilizer treatment, A. thunbergii for. rheophytum were 0.1 g of fast-acting solid fertilizer (DO-PRO) and A. pseudojaponicum were 8 mL liquid fertilizer treatment once a week, and both species were effective in fast-acting fertilizer treatment. The most effective growth conditions for two allium species seedlings were found to be sowing in a 128-cell plug tray filled with horticultural substrate, fertilization of 0.1 g of DO-PRO or 8 mL of Peters once a week, and cultivation under 30~60% shading treatment.




자생 부추속 식물 중 강부추(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와 갯부추(A. pseudojaponicum Makino)는 관상용, 식 용 및 약용자원으로 가치가 있으나 육묘를 위한 생육환경조건 구명이 미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강부추와 갯부추의 육묘에 미치는 플러그 셀 크기, 차광률, 시비처리에 따른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한 결과, 플러그 셀 크기에서는 50, 72, 105, 128, 162, 200셀 처리 중 용적이 가장 큰 50셀에서 초장, 엽 수, 근수, 그리고 근장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생산비용 과 플러그 육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105셀 이상의 플러그 트레이 중에서 선택하여 육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차광률에 따른 유묘는 0, 30, 60, 90% 처리 중 30~60% 차 광처리에서 초장, 근수, 그리고 근장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 되어 생육이 양호하였다. 시비처리에서 생중량과 건중량을 제 외한 생육지표를 검토했을 때, 강부추의 적정 시비처리는 속 효성 고형비료(DO-PRO) 0.1g,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Peters) 주 1회 8mL 엽면시비처리였고 두 종 모두 속효성 시비처리가 효과적이었다. 강부추와 갯부추의 초기 생육에는 30~60% 차광처리가 된 재배플롯에서 원예상토가 충진된 128셀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한후, DO-PRO 0.1g 또 는 Peters 8mL를 주 1회 엽면시비하면서 재배하는 것이 효 과적이라 판단된다.



초록


    서 언

    부추속(Allium) 식물은 북반구 온대지역 중심으로(Brewster 2008;Choi et al. 2007) 전 세계 약 1,000여종이 분포한다 (POWO 2023). 부추속은 관상용, 식용 및 약용자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현재 부추(A. tuberosum Rottler ex Spreng.)와 두메부추(A. dumebuchum H.J.Choi)등 일부 분류군만이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 부추속 식물 중 강부추(A.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는 북한강 및 한탄강 등 중부지방 강변을 따라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9∼10월에 산형화서의 보라색 꽃이 피고, 높이는 21∼54cm 정도이다(Choi and Oh 2011;Kim et al. 2021). 갯부추(A. pseudojaponicum Makino)는 전남, 경남 및 제주지역 해안 가 주변의 광량이 많고 건조한 경사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30 ∼60cm 정도이고 개화기는 9∼10월이다(KBIS 2023). 분구 또는 실생번식이 용이한 강부추와 갯부추는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하며 가을에 개화하므로 관상용 정원소재 식물로 이용가 치가 높다. 특히 강부추는 항산화, 항염 및 항암 효능이 있다 고 알려진 퀘르세틴(quercetin) 성분을 일반 부추보다 8배 이 상 많이 함유하고 있어(KNA 2023)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공정육묘는 시설재배 면적의 증가와 함께 묘의 규격화가 중 요시되면서 대두되었고(Yeoung et al. 2002), 노동력 절감과 균일한 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 고 있으며(Kim et al. 2015),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 공정 육묘 기술이 도입된 이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An et al. 2021). 앞서 선행된 부추속 식물의 육묘 관한 연구로는 육묘일 수와 플러그 셀의 크기가 부추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im et al. 2001), 차광수준에 따른 산마늘(A. microdictyon Prokh.)의 생육과 엽록소 함량(Park and Bae 2012), 용기 크기와 차광처리에 따른 산부추(A. thunbergii G.Don)와 두 메부추의 유묘 뿌리발달(Jeon et al. 2015)등이 있다. 최근에 는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 차광수준 및 시비조건을 통해 참두 메부추(Allium spirale Willd.)의 효과적인 육묘 생육환경 조 건에 관하여 연구되었다(Park et al. 2023). 관상식물 또는 식용식물로도 가치가 높은 강부추와 갯부추의 선행연구로는 분류학적 연구(Choi et al. 2003;Choi et al. 2006)와 갯부 추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Shim 2023)가 있으며, 온도와 광조건에 따른 강부추와 갯부추의 종자 발아특성에 대 해 연구된 바도 있다(Kim et al. 2021). 그러나 강부추와 갯 부추의 육묘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 는 효과적인 육묘를 위한 강부추와 갯부추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강부추는 2019년 6월 강원도 철원군에서 생체를 수집하여 경기도 양평군 소재의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부속 시 험포장에서 보전하면서 11월에 채종하였다. 갯부추는 2019 년 11월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종자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강 부추와 갯부추의 종자는 정선하여 종자저장고(4℃)에 저온저 장한 후 2020년 4월에 파종하여 각 실험에 사용되었다.

    육묘 환경조건

    플러그 셀 크기, 차광률, 시비처리에 따른 강부추와 갯부추 의 육묘기 생육을 확인하기 위한 본 연구의 실험기간은 2020 년 4월 7일부터 6월 25일까지 80일간이었다. 차광처리를 제 외한 다른 처리조건들은 55% 흑색 차광막이 설치된 재배플롯 에서 수행되었으며 온도와 상대 습도를 수집하기 위해 data logger(Watchdog 1000 Series Micro Stations, Spectrum Tech. Inc., USA)를 사용하였다. 육묘기간 동안 재배플롯의 온도는 19.9±0.13℃, 습도는 59.4±0.34%로 조사되었다.

    플러그 셀 크기 및 차광 조건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실험은 50, 72, 105, 128, 162, 200셀(부피 73, 34, 30, 21, 15, 10cm3/셀)(Bumnong Co., Ltd., Jeongeup, Korea)플러그 트레이를 사용하였으며 상업 용 원예상토(Hs, Hanareum No.2, Shinsung Mineral Co., Ltd., Goesan, Korea)를 충진하였다. 차광처리 실험은 파종 후 묘가 출현하기 시작한 일주일 뒤, 유용식물증식센터 내 차 광률이 0, 30, 60, 90%로 설정된 재배플롯에 배치하였고 105셀 플러그 트레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플러그 트레이와 차광 처리구 당 10셀, 3반복으로 총 30셀씩 사용되 었다.

    시비 조건

    적정 시비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강부추와 갯부추를 파종한 뒤 4주 후에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고 있는 과립형 복합비료 DO-PRO(DO-PRO 12, Yara, Norway, N:P:K=12:8:12+ 6CaO)와 완효성 고형비료 Osmocote(Osmocote plus, ICL Specialty Fertilizers, USA, N:P:K=15:11:13)를 셀 당 0.1g, 0.2g 시비하였다. 또한, 1,000mg·L-1 농도의 액상 Peters (Peters professional, ICL Specialty Fertilizers, USA, N:P:K=20:20:20)를 8mL씩 매주 1회 엽면시비하였다. 처리 구는 10셀씩 3반복으로 총 30셀이 사용되었다.

    조사방법 및 통계처리

    강부추와 갯부추를 80일간 육묘한 후, 플러그 셀 크기, 차 광률, 시비처리에 따른 초장(cm), 엽수(개), 근수(개), 근장 (cm)을 측정하였으며 각 개체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생중량(g)과 건중량(g)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하배축에서 신초 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Drying Oven(OF-02G,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에서 75℃로 유지하 여 72시간 건조된 시료의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유묘 생장 데이터는 SAS 9.4(SAS Inst.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처리 평균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를 사용하여 비교 하였다.

    결과 및 고찰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유묘 생육

    플러그 셀 크기에 따라 육묘한 결과, 두 종 모두 용적량이 큰 50셀에서 대부분의 생육지표가 높게 조사되었다. 50셀에서 강 부추와 갯부추는 각각 초장(12.4, 13.6cm), 엽수(2.9, 2.9개), 근장(9.3, 10.4cm), 지상부 생중량(0.18, 0.29g)이 다른 플러 그 셀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able 1, 2). 강부추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중량과 건중량은 50셀(0.18, 0.07, 0.02, 0.008g/plant)이 200셀(0.08, 0.02, 0.01, 0.002g/plant) 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지상부 생중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갯부추의 지상부 생중량과 건중량은 각각 50셀에 서 0.29, 0.11g으로 조사되었고 200셀에서 0.15, 0.05g으 로 측정되었다. 지하부의 생중량과 건중량은 50셀에서 0.04, 0.01g, 200셀에서 0.02, 0.006g으로 조사되었다. 갯부추도 마찬가지로 지상부 생중량을 제외하고 처리당 유의성이 나타 나지 않았다(Table 1, 2). 플러그 셀 크기에 따른 환경에서 갯 부추는 200셀 보다도 162셀에서 초장(7.4cm)과 지상부 생중 량(0.07g)의 생육지표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Table 2, Fig. 1B). 참두메부추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용적이 가장 큰 플러그 트레이 조건에서 초장, 엽수, 근수, 근장이 증가하여 근수를 제외한 나머지 생육지표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ark et al. 2023). 두메부추와 산부추(Allium thunbergii G. Don)는 세근의 발달이 저조하여 나타난 결과로 뿌리의 투 영단면적과 표면적이 용적이 큰 128셀에서 더 발달했지만 뿌 리의 평균 직경은 200셀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Jeon et al. 2015).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은 충진된 토양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생육이 우수한 경향이었고(Jang et al. 2022),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는 육묘 시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가 커질수록 초장, 초폭, 엽장, 엽폭 등 생육지표가 높게 나타났다(Lee et al. 2022).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강부추와 갯부추 또한 처리 중 용적이 가장 크고 충 진된 토양이 많은 50셀 플러그 트레이에서 지상부 생육이 가 장 우수하였다. 주로 종자를 파종하고 육묘하여 재배하는 파 (A. fistulosum L.)는 128, 200, 406셀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했을 때, 셀 크기가 가장 큰 128셀에 육묘한 개체가 생체 중이 무거운 경향을 나타냈고 셀의 용적량이 적어지면서 근권 이 제한되어 생육이 저하되었다(Lee 2021). 강부추와 갯부추 또한 플러그 셀 크기가 클수록 충진된 상토의 양이 증가하고 이와 비례하여 양분이 늘어남에 따라 유묘의 전체적인 생육지 표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정한 면적에서 플러그 트레 이를 이용하여 육묘할 경우 셀의 숫자가 많은 트레이에서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으면서 충진되는 상토의 양을 절감 할 수 있다(Park et al. 2009). 이러한 생산비용과 플러그 육 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할 때 105 셀 이상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 단된다.

    차광률에 따른 유묘 생육

    강부추와 갯부추를 차광수준에 따라 육묘한 결과, 강부추는 60% 차광처리에서 초장(9.5cm), 근수(5.4개), 근장(6.3cm)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무차광 대비 초장 63.7%, 근수 38.4%, 근장 53.6%로 생육지표가 증가하여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 하게 높게 조사되었고, 엽수는 비슷한 수준이었다(Table 3). 갯부추는 무차광 대비 60% 차광처리에서 초장(10.9cm)과 근 장(7.8cm)이 각각 94.6, 77.2%로 증가하였고, 엽수와 근수는 2.9, 4.4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갯 부추는 90% 차광수준에서 초장이 높게 측정되어 웃자라는 경향을 보였다(Fig. 2). 강부추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중량 과 건중량이 30% 차광처리에서 각각 0.08, 0.06, 0.014, 0.009g/plant로 조사되었고 갯부추는 30% 차광처리에서 각 각 0.14, 0.06, 0.02, 0.006g/plant로 측정되었다(Table 3, 4). 생중량과 건중량의 수치는 60% 차광처리의 측정값과 큰 차이가 없었다. 강부추는 근장이, 갯부추는 초장이 60% 차광 수준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생육지표는 30% 차광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으므로 강부추와 갯부추의 적 정 생육을 위한 차광률은 30~60% 라고 할 수 있다. 참두메부 추는 60% 차광처리에서 생육지표 중 초장, 엽수, 근장 증가하 였고 초장과 근장이 무차광 및 30% 차광률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조사되었다(Park et al. 2023). 반면, 산부추와 두메부추 는 모든 플러그 셀 트레이에서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전체 뿌리길이가 짧아지는 결과를 보였다(Jeon et al. 2015). 또한, 산마늘은 50% 차광처리 대비 80% 차광처리에서 엽장이 7.6% 증가한 16.8cm로 조사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나타 냈다(Park and Bae 2012).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듯이 동일한 부추속 식물이라도 자생지 환경에 따라 각 식물체의 적정 광 조건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강부추와 갯부추의 우수 한 초기 유묘 생육을 위해 차광조건은 필수적이고 두 종 모두 30~60% 차광률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시비처리에 따른 유묘 생육

    시비처리에 따라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한 결과, 강부추 는 속효성인 고형비료(DO-PRO) 0.1g 처리에서 각각 초장 (9.4cm), 엽수(1.7개), 근수(4.2개), 근장(7.2cm)이 다른 처리 구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그 중에서 초장의 값이 유의적인 차 이를 나타내어 속효성 고형비료 0.2g 처리의 초장(7.4cm)보 다 높았다(Table 5). 속효성인 액체비료(Peters)를 8mL씩 주 1회 엽면시비한 처리구는 각각 초장(8.5cm), 엽수(2.1cm), 근수(3.9개)로 조사되어 완효성 고형비료(Osmocote) 0.1g 처리의 초장(6.4cm), 엽수(1.8개), 근수(3.5개)보다는 비교적 으로 높았지만 초장을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강 부추의 시비처리에 따른 결과로 초장을 제외한 엽수, 근수, 근 장, 그리고 생중량과 건중량은 처리당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 았다(Table 5).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8mL를 주 1회 엽 면시비한 처리구에서 초장(10.4cm)과 엽수(2.8개)가 다른 처 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 동일한 속효성 고형비료 0.1g 처리에서 초장이 10.2cm로 비슷한 수 준으로 측정되었다(Table 6, Fig. 3B). 갯부추의 시비처리에 서 생중량과 건중량은 완효성 고형비료 0.1, 0.2g 처리의 초 장 값이 특히 낮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성이 없 었다(Table 6). 참두메부추의 경우, 1,000mg·L-1 농도의 액체 비료 Peters 8mL를 주 2회 엽면시비 했을 때 초장이 9.2cm, 엽수가 4.2개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고형비료를 셀 당 0.1g 시비한 처리구 다음으로 양호한 생육결과를 나타냈다(Park et al. 2023). Kwon et al.(2021)Oh et al.(2022)는 부 산꼬리풀(Veronica pusanensis Y.N.Lee)과 큰구와꼬리풀 (V. pyrethrina Nakai)에 본 실험에 사용한 동일한 액체비료 (Peters professional)를 시비하여 육묘할 때, 초장과 초폭을 비롯한 생육지표가 대조구보다 높게 조사되었다고 보고하였 다. 본 시비처리 실험에서 사용한 고형비료는 과채류에 적합 한 복합비료로서 흡수 이용률이 높은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고(DO-PRO, 2023), 코트비료 제형으로 시 비처리를 할 때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생중량과 건중량을 제외한 생육지표를 검토했을 때, 적정 시비처리는 강부추는 속효성 고형비료 0.1g,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주 1회 시 비처리였지만 두 종 모두 속효성 고형비료 및 액체비료 시비 처리가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부추와 갯부추의 육묘 시 시비처리를 할 경우, 시비횟수 또는 해당 비료제형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강부추와 갯부추의 유묘는 50셀 플러그 트레이에서 지상부 생육이 높게 조사되었으나 초기 육묘 시 생산비용과 효율성에 따라 처리한 플러그 트레이 중에서 비교적 생육이 우수한 105셀 이상의 셀을 선택하여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하는 것 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차광정도에 따라 강부추와 갯부추는 30~60% 차광률에서 초장과 근장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시비 처리에서 강부추는 속효성 고형비료 0.1g 처리에서 특히 초장 의 값이 높게 측정되었고,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8mL를 주 1회 엽면시비한 처리구가 초장과 엽수의 생육에 효과적이 었으며 동일한 속효성 고형비료 0.1g 처리에서는 초장이 비슷 한 수준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강부추는 파종한 묘를 30~60% 차광조건 아래에서 속효성 고형비료 0.1g 시비하여 육묘하는 것이 적절하고, 갯부추는 파종한 묘를 30~60% 차 광조건 아래에서 속효성 고형비료 0.1g 또는 액체비료 8mL 를 주 1회 엽면시비하여 육묘하는 것이 적정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자생 부추속 식물의 활용 증진 및 재배기술 연구(KNA1-2-35, 19-3)”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Figure

    FRJ-31-4-232_F1.gif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B) at 80 days after cultivation according to plug tray cell size. Scale bars = 5 cm.

    FRJ-31-4-232_F2.gif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B) at 80 days after cultivation according to shading ratio. Scale bars = 5 cm.

    FRJ-31-4-232_F3.gif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 and A. pseudojaponicum Makino (B) at 80 days after cultivation according to additional fertilizer. Scale bars = 5 cm.

    Table

    Effect of different size of plug tray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different size of plug tray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shading ratio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shading ratio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Effect of additional fertilizer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sup>y</sup>Not detected.

    Effect of additional fertilizer on seedling growth of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 at 80 days after sowing.

    <sup>z</sup>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p</i>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 = 30).

    Reference

    1. An S , Bae JH , Kim HC , Kwack Y (2021) Production of grafted vegetable seedlings in the republic of Korea: Achievement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Hortic Sci Technol 39:547-559
    2. Brewster JL (2008) Onions and other vegetable alliums (2nd ed).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p 1-4
    3. Choi HJ , Jang CG , Lee YM , Oh BU (2007) A taxonomic study on Korean Allium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Korean J Plant Taxon 37:275-308
    4. Choi HJ , Kim YY , Ko EM , Jang CG , Oh BU (2006) An unrecorded species of Allium (Alliaceae) in Korea: A. pseudojaponicum Makino. Korean J Plant Taxon 36:53-59
    5. Choi HJ , Oh BU (2011) A partial revision of Allium (Amaryllidaceae) in Korea and North-eastern China. J Linn Soc Bot 167:153-211
    6. Choi HJ , Oh BU , Jang CG (2003) An unrecorded species of Allium (Alliaceae) in Korea: A. longistylum Baker. Korean J Plant Taxon 33:295-301
    7. DO-PRO (2023) YARA Knowledge grows. Accessed 27 Oct. 2023, https://www.yara.kr/crop-nutrition/fertiliser-products/yaramila/12/
    8. Jang BK , Yeon SH , Lee SI , Park K , Jeong MJ , Cho W , Cho JS , Lee CH (2022) Seedling growth of Lythrum salicaria L. by soil types, plug tray cell size, number of seeds per cell, liquid fertilizer, and shading level. Flower Res J 30:113-120
    9. Jeon KS , Song KS , Kim DY , Choi KS , Kim CH , Park YB , Kim JJ (2015) Characteristics of root development of Allium thunbergii and Allium senescens seedlings by container size and shading treatment. Korean Soc Agri Mach 20:455-456 (Abstr)
    10. Kim CK , Oh JY , Kang SJ (2001) Effect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 Hortic Sci Technol 42: 167-170
    11. Kim HC , Cho YH , Ku YG , Bae JH (2015) Seedling qualities of hot pepper according to seedling growth periods and growth and yield after planting. Hortic Sci Technol 33:839-844
    12. Kim JM , Park CH , Kim SY , Lim YJ , Jung JY (2021) Seed germination responses to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 and light treatments in four Allium species Native to Korea. Flower Res J 29:173-180
    13. Kim YM , Lee J , Choi HJ (2021) Allium stenodon (= A. baekdusanense), a neglected member among the Korean flora. Korean J Pl Taxon 51:141-146
    14.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KBIS) (2023) Acc essed 27 Oct. 2023,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
    15.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23) Accessed 27 Oct. 2023, https://kna.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155524&bbsId=BBSMSTR1036&pageUnit=10&pageIndex=23&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Wrd=&ctgryLrcls=CTGRY14(&ctgryMdcls=&ctgrySm cls=&ntcStartDt=&ntcEndDt=&mn=UKNA_05_02&or gId=
    16. Kwon HH , Oh HJ , Kim JH , Kim SY (2021) Development of raising seedling technology for Veronica pyrethrina Nakai using plug trays. J People Plants Environ 24: 499-507
    17. Lee JS (2021) The effects of plug tray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pring onion. J Korean Soc Int Agric 33:8-13
    18. Lee SI , Park JW , Kwon YE , Kim SY , Cho WW , Jeong MJ (2022)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Korean J Plant Res 35:29-35
    19. Oh HJ , Kwon HH , Kim JH , Cho WW , Kim SY (2022) Growth characteristics by plug tray cell size, soil type, and fertilizer concentration for plug seedling production of Veronica pusanensis YN Lee. J People Plants Environ 25:143-152
    20. Park BM , Bae JH (2012)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L. for. platyphyllum Makino. J Bio-Env Con 21:281-285
    21. Park CH , Kim JM , Yun SM , Lim YJ , Yoon MJ , Jang BK (2023)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the efficient growth of seedlings of Allium spirale Willd. Flower Res J 31:159-165
    22. Park KW , Park HR , Beak JP , Kim JH , Yang DS (2009) Baby vegetable production using plug tray. Korean J Hort Sci Technol 27:359-364
    23. Plant of the World Online (POWO) (2023) Facilitated by royal botanic garden, Kew. Accessed 27 Oct. 2023, https://powo.science.kew.org/taxon/urn:lsid:ipni.org:names:30000901-2#source-KB
    24. Shim JH (2023) Anti-aging effect of Allium pseudojaponicum in UVA-irradiat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Mol Cell Biol 69:137-143
    25. Yeoung YR , Jeon JY , Shim SY (2002) Characteristics of root development and seedling quality during pepper seedling growth in copper-coated plug trays. J Korean Soc Hortic Sci 43:151-154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